예수님의 광야 시험 – 우리가 유혹을 이길 수 있는 방법
Part 6. 주기도문 속 구원 - 제2부: 최초의 유혹 – 선악과와 인간의 타락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열매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 (창세기 3:6, 개역개정)
성경에서 인간이 처음으로 경험한 유혹은 에덴동산에서의 선악과 사건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의 선택은 인간 역사에서 가장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되는 유혹의 원형을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창세기 3장의 선악과 사건을 중심으로, 유혹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했는지, 그리고 오늘날 우리에게도 동일한 방식으로 다가오는 유혹의 본질을 탐구하겠습니다.
1. 에덴동산에서의 최초의 유혹: 뱀의 속임수
하와가 선악과를 먹게 된 과정은 단순한 충동이 아니라, 마귀(뱀)의 정교한 전략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창세기 3장에서 뱀은 하와를 유혹하며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1)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함
"여호와 하나님의 지으신 들짐승 중에 뱀이 가장 간교하더라. 뱀이 여자에게 물어 가로되,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더러 동산 모든 나무의 실과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창세기 3:1, 개역한글)
뱀은 하와에게 접근하여, 하나님께서 "동산 모든 나무의 실과를 먹지 말라"고 금지하셨다는 뉘앙스로 질문을 던졌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분명히 "모든 나무의 실과는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만 먹지 말라"(창세기 2:16-17)고 말씀하셨습니다. 마귀는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혼란을 주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2) 거짓된 약속으로 유혹함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 (창세기 3:5, 개역개정)
뱀은 하나님께서 선악과를 금지하신 이유가 인간이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고 주장합니다. 즉, 하나님께서 인간에게서 무언가를 숨기고 있다고 믿게 만드는 것이 마귀의 전략입니다. 이처럼 유혹은 진실을 숨기고, 거짓된 희망을 제공하며, 우리가 하나님 없이도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 착각하게 만듭니다.
3) 감각적 욕망을 자극함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열매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 (창세기 3:6, 개역개정)
하와는 선악과를 보면서 세 가지 감각적 유혹을 경험합니다.
- 육신의 정욕 (먹음직함) → 욕망과 쾌락을 자극하는 유혹
- 안목의 정욕 (보암직함) → 외적인 아름다움과 비교를 유발하는 유혹
- 이생의 자랑 (탐스러움) → 지혜를 얻고 스스로 높아지려는 욕망
이러한 유혹의 패턴은 단순히 아담과 하와에게만 적용된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도 동일한 방식으로 유혹을 경험합니다.
2. 21세기의 선악과: 현대 사회에서의 유혹
선악과 사건에서 나타난 유혹의 패턴은 오늘날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되고 있습니다.
(1) 육신의 정욕: 쾌락과 소비주의
- 무절제한 음식 소비와 폭식 문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는 식품 산업과 미디어의 영향으로 인해 음식이 단순한 생존 수단이 아니라 쾌락의 도구로 변질되었습니다.
- 성적 탐닉과 음란물 문화: 디지털 시대의 성적 유혹은 더욱 강력해졌으며, 성적 탐닉은 가정을 파괴하고 윤리적 기준을 무너뜨립니다.
- 과소비와 사치 문화: 명품 소비 열풍과 끝없는 물질적 욕망은 '더 많은 것을 소유해야 행복하다'는 거짓된 믿음을 심어줍니다.
(2) 안목의 정욕: 비교와 경쟁 속에서의 욕망
- SNS 속 비교 문화: 소셜미디어는 타인의 삶과 비교하도록 유도하여 만족감을 빼앗아갑니다.
- 외모 지상주의: 현대 사회에서는 아름다움이 성공의 기준이 되어 성형 수술과 무리한 다이어트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 광고와 미디어의 영향: 소비를 촉진하는 미디어는 완벽한 삶을 살아가는 듯한 이미지로 사람들의 욕망을 자극합니다.
(3) 이생의 자랑: 권력, 명예, 성공의 유혹
- 사회적 성공과 권력 탐닉: 더 높은 자리에 오르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경쟁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 자신을 과시하는 문화: '자랑하기'를 목표로 하는 SNS 문화는 더 많은 팔로워와 인정 욕구를 추구하게 만듭니다.
- 윤리적 타협: 성공을 위해 비윤리적 선택을 하거나, 거짓된 이미지로 자신을 꾸미는 등의 행동도 이생의 자랑에서 비롯된 유혹입니다.
3. 유혹을 이기는 방법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유혹을 이길 수 있도록 길을 마련해 주십니다.
-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기 - 예수님께서 광야에서 마귀의 유혹을 말씀으로 물리치셨습니다. (마태복음 4:4)
- 기도로 무장하기 - 시험에 들지 않도록 항상 깨어 기도해야 합니다. (마태복음 26:41)
- 하나님과의 관계를 우선순위에 두기 - 세상의 유혹보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마태복음 6:33)
우리는 매일 선악과 앞에 서 있는 것과 같습니다.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요?
하나님 나라의 성취를 기다리는 폴(Paul of Await)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