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주의 전천년설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다비에서 한국 교회까지의 여정

하나의 해석이 세계를 바꾸다 종말론을 둘러싼 수많은 해석 가운데, 오늘날 한국 교회와 미국 복음주의 신앙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친 관점이 있다면 단연 세대주의 전천년설(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일 것입니다. 단순히 요한계시록을 어떻게 읽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사를 보는 틀과 신자의 삶의 태도까지 바꿔놓은 이 해석 방식은 19세기 초반 영국에서 출발해 미국을 거쳐 전 세계로 확산 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의 종말관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신학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과정을 거쳐 한국 교회에까지 도달하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그 여정을 따라가 봅니다. 존 넬슨 다비와 세대 구분의 발상 세대주의 전천년설의 시작은 19세기 초 영국 의 신학자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 로부터 비롯됩니다. 다비는 원래 성공회(Church of England) 소속의 유능한 사제 였으나, 제도화된 교회의 권위 구조, 국가와의 결탁, 냉담한 형식주의에 깊은 회의를 느끼게 됩니다. 특히 그는 교회가 정치적 조직이 아닌, 성령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신자들의 공동체여야 한다고 확신하게 되었고, 당시 아일랜드 교구의 교회법적 결정과 충돌하면서 결국 성공회를 떠나게 됩니다. 그는 성경의 예언들—특히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을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열망 속에서, 신앙의 본질로 돌아가고자 하는 사람들과 함께 ‘플리머스 형제단’(Plymouth Brethren) 이라는 독립적 신앙 공동체를 형성합니다. 이들은 조직이나 성직자의 위계 없이, 오직 성경과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모이는 단순하고 자발적인 공동체 를 지향했습니다. 다비의 가장 핵심적인 신학적 기여는, 하나님께서 인류의 역사를 일곱 개의 ‘세대’(dispensations) 로 나누어, 각 시대마다 다른 방식으로 인간과 관계를 맺으신다는 사상입니다. 예를 들어, 율법의 시대, 은혜...